Home > Movie > 아라비아의 로렌스② > 아라비아의 로렌스①  

 

 

 

 

 

 

 

 

 

 

아라비아의 로렌스(Lawrence of Arabia, 1962)

 

 


 감독: 데이비드 린(David Lean)
출연: 피터 오툴Peter O' Toole, 알렉 기네스Alec Guinness, 안소니 퀸Anthoy Quinn, 오마 샤리프Omar Sharif 등
 

 

 

 Inner Link

 

제국주의와 오리엔탈리즘, 그야 그렇겠지만.

 

 

 

데이비드 린

알렉 기네스

콰이강의 다리

말론 브란도

하르툼

케말파샤

버지니아 울프

존 케인즈

자와할랄 네루

간디

 

All men dream, but not equally. Those who dream by night in the dusty recesses of their minds wake in the day to find that it was vanity: but the dreamers of the day are dangerous men, for they may act their dream with open eyes, to make it possible.   —T. E. Lawrence from <The Seven Pillars of Wisdom>

  국 웨일즈 지방의 트레마독(Tremadoc) 출신인 토마스 에드워드 로렌스(Thomas Edward Lawrence, 1888 - 1935)는 사생아로 태어났다. 그에게 사막이 없었다면 그의 인생은 아마 지극히 평범한 영국인의 삶으로 끝마쳤을지 모른다. 주말에는 정원을 가꾸고, 하얀 스웨터를 입고 폴로 경기를 구경하며 오후 티타임에는 SP음반에서 흘러나오는 음악을 들었을 것이다. 밤에는 가스등을 켜놓고 서재에 묻혀 독서를 했을 것이다. 그러나 대영제국의 영광이 아직 시들기 전이었던 1888년에 태어나 제1차 세계대전을 맞이하게 된 이 영국인 청년에겐 고고학과 전쟁 그리고 무엇보다 사막이 있었다.

  가요 <목로주점>의 가사에 "연말이면 적금타서 낙타를 사고 … 그래 그렇게 사막에 가자"라는 말처럼 나로 하여금 사막의 아름다움에 대해 매료되도록 한 최초의 경험은 이 영화 <아라비아의 로렌스>로부터 비롯되었다. <Life>지는 <아라비아의 로렌스>를 '지금까지 만들어진 영화 중 가장 공이 많이 들어간 작품'이라고 말했다. 그도 그럴 것이 이 영화 <아라비아의 로렌스>는 제작 기간에 기획 과정까지 포함시키면 10년의 시간이 걸렸다. 순수하게 촬영기간만 계산하더라도 3년 7개월이라는 엄청난 시간을 소요했다. 이들이 사용한 것은 단지 시간만은 아니었다. 이 영화의 촬영을 위해 5천 마리의 낙타가 동원되었고, 이들이 먹어치우는 하루 물값만 30만달러가 소요되는 등 당시 총 제작비가 2천만달러 이상 투입되는 물량만으로도 대작 영화임에 틀림없다.

 

귀족 토마스 채프만 경의 자식이었으나 사생아였던 로렌스는 아버지의 성도, 귀족의 호칭도 물려받을 수 없었다. 빅토리아 시대를 거친 근대적 이성은 그를 지식인으로 성장시켰으나 사막의 야만은 위선의 문명을 거부했다. - 로렌스의 형제들, 왼쪽 끝이 21세 때의 로렌스

 

 

 

토마스 에드워드 로렌스(Thomas Edward Lawrence, 1888 - 1935) - 그는 진정한 몽상가였는지 모른다.

<아라비아의 로렌스>에서 무명배우였던 피터 오툴은 T.E.로렌스 역을 맡아 최고의 연기를 보였다. - 외모도 닮은 꼴로 보인다.

 

 

 

 

 


  그렇다면 이 영화는 단지 70mm 와이드 스크린(이제 더이상 극장에서 <아라비아의 로렌스>를 볼 수 없다. 70mm 상영관이 없어졌으므로)에 비추는 웅장함과 일급 감독과 배우, 엄청난 제작비로 승부를 거는 스펙타클 영화인가? <아라비아의 로렌스>에서 서구 제국주의와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의 흔적을 발견하는 것은 이제 대단한 발견도 아니다. 단지 그뿐이라면 <아라비아의 로렌스>가 주는 감동은 그리 대단한 것이 아닐 수도 있다. 그러나 전쟁에 대해 단지 적과 아군, 일본군의 자존심과 영국군의 자존심 대결 이상의 무엇으로 승화시킨 걸작 <콰이강의 다리The Bridge on The River Kwai>를 만들었던 제작자 샘 스피겔과 감독 데이비드 린이 영국의 모험가이자 군인이었던 로렌스의 일대기를 사우디 아라비아의 불볕 사막에서 3년 7개월간에 걸쳐 촬영한 것은 단지 그런 액션 스펙타클만은 아니었다.

  나는 분명히 이 영화를 촬영하고 있는 동안의 데이비드 린 감독은 T.E. 로렌스와 마찬가지로 사막에 매료되어 버렸다고 생각한다. 사랑하지 않고는 그런 사막이 그려질 수는 없을테니까. 린 감독은 사막에 매료된 인간. 사막이라는 대자연 앞에서 벌어지는 인간의 전쟁과 배신이 얼마나 하잘 것 없는 것인가를 로렌스라는 한 허무적 인간을 통해 드러내고자 했다고 생각한다.

버나드 쇼, E.M.포스터의 친구이기도 했던 T.E.로렌스

  1962년 크리스마스 시즌에 공개된 이 영화에 대해 <뉴스위크>는 '이것은 서커스가 아닌 최초의 호화대작이다'라고 감탄했다. 그러나 처음 개봉에서 이 영화는 흥행적인 면에서는 그다지 재미를 보지 못했다. 그러나 이 영화에서 열연하며 스타덤에 오른 두 명의 배우가 있었으니 그는 이집트 출신의 오마 샤리프와 피터 오툴이었다. 처음 이 영화의 제작자인 샘 스피겔은 로렌스 역으로 말론 브란도를 생각하고 있었는데 영화 제작 당시 그가 <바운티호의 반란>에 출연중이었기 때문에 하는 수 없이 금발의 파란눈을 가진 당시 29세의 아일랜드 청년 피터 오툴에게 로렌스 역이 돌아갔다. 피터 오툴은 이 영화가 개봉되기 전까지는 무명이나 다름없었다. 그러나 피터 오툴의 로렌스는 완벽했다. 심지어 사막에 비치는 그의 그림자조차 연기를 할 줄 아는 것으로 보일 정도였다.

  그런 피터 오툴이 연기했던 T.E. 로렌스는 어떤 인물이었을까? 이전에 소개한 영화 <하르툼>에서 우리는 일명 '차이니스 고든'이라고 불렸던 한 인물에 대해서 알아봤다. 그가 수단의 총독 관저에서 토민병이 던진 창에 찔려 죽은 것이 1885년이니 로렌스가 태어나기 불과 3년 전의 일이었다. 찰스 조지 고든 총독이 열렬한 복음주의 기독교의 신자였던 것처럼 로렌스의 부모 역시 매우 신앙심이 깊은 인물들이었다. 그들은 아침이면 성경을 읽는 것으로 시작해서 자식에게 매우 엄격한 신앙교육을 시켰다. 그런데 로렌스는 사생아였다. 성서에 보면 이스라엘 민족의 조상인 아브라함은 그의 86세에 애굽인 여종 하갈로부터 이스마엘을 낳고, 100세에 이르러 자신의 본처인 사라로부터 이삭을 얻는다. 아브라함의 곁을 떠난 이스마엘이 아랍 민족의 조상이 되었다는 것은 익히 잘 알려진 사실이다. T.E. 로렌스가 아랍 민족의 편에 서서 그들의 시각을 갖게 된 이유 중 하나가 나는 여기에 있다고 생각한다. 훗날 그가 고고학 분야에 관심을 갖게 되어 팔레스타인 지역의 고고학 탐사에 참여했다는 것도 주목해볼 만한 일일 것이다.

  로렌스의 아버지 토마스 채프먼 경의 전처는 가톨릭 신자였으므로 종교상의 이유로도 이혼할 수 없었다. 그런 이유로 로렌스의 어머니와 법적인 재혼이 불가능해졌으므로 로렌스는 사생아가 될 수밖에 없었다. 그는 어려서부터 여러 운동에 소질을 보였고, 무엇보다 역사 분야에 많은 관심을 가졌던 T.E. 로렌스는 역사를 좀더 공부하기 위해 옥스퍼드에 진학해 수석으로 졸업한다. 이 무렵 그와 친교를 맺었던 친구들의 면면을 살펴보는 것도 로렌스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로렌스는 아일랜드 더블린 출신의 독설가, 훗날 제1차 세계대전을 반대한 반전운동가이자 온건 좌파적 모임인 페이비언협회를 결성한 버나드 쇼와 빅토리아왕조의 도덕이나 가치관에 반발하여 그리스 문명에 대한 동경을 드러냈던 E.M 포스터 - 포스터는 <하워드 엔즈>, <전망 좋은 방>, <인도로 가는 길>을 집필했고, 자신과 유사한 뜻을 가진 이들과 함께 '블룸즈버리(Bloomsbury) 그룹'을 만들어 당시의 지도적 문화 서클이 되도록 했다. 이 그룹엔 버지니아 울프를 비롯해 경제학자 존 케인스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 와 친구가 되었다. 당시의 시각으로 보자면 다분히 문제적 인물들이었으며 별종이었던 셈이다.

T.E.로렌스와 아라비아의 인연

  국의 면모를 살펴볼 때마다 느끼는 것은 그것이 로마 제국이던 아니면 중화 제국이던 간에 제국을 건설하고 유지하는 데에는 반드시 민간 지식인들의 적극적인 협조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방점을 찍어야 하는 부분은 지식인들의 적극적인 협조라는 부분이다. 제국을 건설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군사력에만 크게 의존하는 듯이 보이지만 로마 제국의 건설과정을 성찰해보아도 알 수 있듯 제국은 보병군단의 글라디우스 칼날이 아니라 실제로는 측량기사의 펜 끝에서 이루어진다. 영국 역시 제국의 건설과 유지라는 측면에서 이런 민관의 협조가 매우 민활하게 이루어졌다. 작가이며 고고학자, 옥스퍼드의 애쉬몰리안 박물관에 몸담고 있는 데이비드 호가스 (David Hogarth)와의 만남은 로렌스로 하여금 멀게만 존재했던 아라비아에 한 발짝 더 다가설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호가스는 터키어와 아랍어를 할 줄 알았고, 로렌스와 마찬가지로 중동 지방에 매료된 인물이었다. 그러나 당시 중동지방의 대부분은 터어키 제국이 지배하고 있었다. 호가스는 실제로 영국의 스파이 할동을 지원했으며 그의 연구가 영국의 국익에 도움이 되는 것만은 분명했다.

  로렌스 역시 그런 호가스를 도왔고, 그 결과 탄생한 논문이 <유럽의 군사건축 양식에 십자군이 끼친 영향(The Influence of Crusaders on European Military Architecture)>이었다. 이 논문으로 그는 옥스퍼드를 수석 졸업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에르빈 롬멜 장군이 이끄는 독일군 아프리카 군단을 배후에서 괴롭히며  유명해진 영국군의 '장거리사막정찰대(L.R.D.G. ; Long Range Desert Group)' 역시 정규군이라기 보다는 사막 지역을 연구하는 학자들이 군인으로 활동한 것이었다.(이런 분위기는 영화 <잉글리쉬 페이션트> 참조) 만약 로렌스가 제2차 세계대전 전에 죽지 않았다면 그도 여기에 참여했을지 모른다. 왜냐하면 그는 1913년 겨울 수에즈 운하에서 150km 정도 북쪽에 위치한 터어키 군사시설의 위험을 탐지하기 위하 고고학 조사를 표방하며 이곳을 조사했고,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카이로의 육군 정보부에 파견되었기 때문이다.

  여기까지가 영화가 시작되기 전의 이야기이다.(물론 <아라비아의 로렌스>를 좀더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수에즈 운하'에 대해서 알아두는 것이 좋겠지만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낫세르와 파이잘 국왕 편에서 다룰 것을 약속드린다.)
 


대영제국(British Empire)

britishempire.jpg

  영국은 16세기 이래 수백년 동안 세계 곳곳에서 광대한 영토를 차지했다. 위의 세계지도에서 적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영국 식민지의 최대 판도를 나타내고 있다. 1876년 영국의 식민지 인구는 2억5천만명, 1914년에는 4억에 달하는 사람들을 그들의 식민지배 아래 두었다. 1860년대말까지 영국은 세계의 공장으로서 산업혁명을 주도했으나 1870년대에 이르러 신생경쟁국인 독일이나 미국의 공업력에 뒤처지기 시작했다. 20세기 초에 이르러 미국은 영국의 공업 생산력을 완전히 능가했고, 독일 역시 일부 산업 분야에서 영국을 추월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영국은 아직까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자본주의 국가로서 막대한 부를 축적하고 있었다. 이는 주로 노동자에 대한 착취, 광대한 식민지 약탈의 결과였다. 영국은 공업패권은 상실했지만 여전히 세계의 은행이었고, 영국은 식민지에 대한 자본의 수출을 통해 좀더 많은 이윤을 얻어내고자 했다.

과연 영국은 셰익스피어를 인도와 바꾸지 않았을까?

  영국의 콧대높은 자존심은 셰익스피어와 인도를 바꾸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이 말은 물론 인도를 잃은 뒤의 말이고, 그만큼 인도를 포기하기엔 아쉬움이 많이 남았다는 뜻이 된다. 실제로 인도는 당시 영국령 식민지 중에서 가장 광대한 영토와 3억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었다. 인도를 제외한 영국의 본토, 자치령과 모든식민지의 인구를 합쳐도 1억에 불과했다.

  그런 인도였지만 20세기 초에 이르기까지 인도인들은 인도에 대해 아무런 권리도 얻지 못했다. 영국 정부가 임명한 상류 귀족 출신의 총독은 유럽의 그 어떤 군주보다 강력한 권력을 쥐고 있었고, 인도의 농민들은 무거운 세금에 시달렸다. 이들이 바치는 세금은 영국의 관료제와 군대를 유지하는 비용으로 사용되었다. 1896년부터 1905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1천만 명에 이르는 인도인이 굶어 죽었다. 당시 인도인의 평균 수명은 24세에 불과했다.

  영국은 식민지 전쟁 비용 중 상당액을 인도로부터 얻어냈으며 제1차 세계대전에는 영국의 젊은이들을 대신하여 전장에 끌려 나왔다. 아랍의 독립국가 건설을 방해한 영국군의 상당수가 인도인으로 구성된 군대였다. 피압박민족이 다른 피압박 민족을 억압하는 아이러니였다.

대영제국을 유지하는 군사력 - 해상패권

  영국의 식민지 침략과 방어, 유지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군사력의 대부분은 당연한 말이지만 강력한 함대에 의해 나오는 것이었다. 영국은 전세계에 산재해 있는 식민지 어디에나 즉각적인 군사력을 파병할 수 있기를 원했다. 따라서 막강한 해군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많은 돈이 들었으며, 함대가 활동할 해상항로와 귀항하여 보수할 수 있는 항구가 필요했다. 영국은 특히 그들 최대의 식민지인 인도에 이르는 최단 항로를 유지하는 데 각별한 노력을 기울였다.

  수에즈 운하가 개통되기 전까지 영국에서 인도로 가는 가장 짧은 항로는 대서양을 거쳐야 하는 것이었으나 1869년 수에즈 운하가 개통되면서 지중해를 거쳐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는 새로운 최단 항로가 개척되었다. 이에 따라 영국은 수에즈 운하를 자신들의 관리하에 두는 것을 최우선의 정책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영국은 이미 18세기 초에 지중해의 관문인 지브롤터를 점령했고, 19세기 초에는 지중해의 가장 좁은 지점인 말타섬을 점령했다. 그리고 홍해에서 인도양으로 나아가는 관문인 아덴을 점령했다.

  1870년에서 1880년에 이르기까지 수에즈 운하와 이집트에 대한 지배권을 획득하여 수에즈 운하와 이집트는 유럽으로부터 인도에 이르는 해상 항로의 가장 중요한 전략지점이 되었다. 영국은 비록 공업적인 측면에서는 후발 국가들에게 뒤졌지만 여전히 세계의 은행으로서, 상업해운국으로서의 지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개혁 실패로 몰락하는 대영제국

  대영제국의 균열은 안팎으로부터 서서히 다가오고 있었다. 18세기에 성립하여 19세기초까지 유지된 영국의 정치제도는 커다란 변화가 없었으나 점증하는 노동자들의 정치적 각성은 기존의 지배 체제만으로는 더 이상 통치가 불가능하다는 인식을 지배 계급에게 강요했다. 영국의 통치자들은 노동계급의 불만을 달래기 위해 부분적인 개혁을 단행하여 정부가 그들의 요구에 응하고 있는 인상을 주도록 했다.

  우리들에게 흔히 영국 민주주의의 가장 화려한 시기로 알려진 빅토리아 왕조 시대의 보수당과 자유당의 양대 부르주아 정당이 번갈아 정권을 잡았던 시기가 이때였다. 디즈레일리로 대표되는 보수당은 대토지 소유 자본가들을, 글래드스톤으로 대표되는 자유당은 상대적으로 토지를 적게 소유한 자본가들을 대변했다. 자유당 역시 영국의 식민정책에 대해 적극적이기는 했으나 보수당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를 은폐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그들은 아일랜드 문제에 대해서도 상당히 양보할 수 있다고 생각했고, 실제로도 그렇게 하려고 했다. 그러나 노동자의 정치적 각성에 위기를 느낀 부르주아들은 좀더 보수반동으로 변해갔고, 아일랜드 문제에 대한 양보는 절대로 있을 수 없다는 식의 노골적인 식민 정책과 정치개혁에 대해서도 보수적이었던 보수당을 지지하기 시작했다. 그런 반동적인 움직임에 불을 당긴 것이 찰스 조지 고든 총독이 수단의 하르툼에서 살해당한 사건이었다.

  이후 영국의 정책은 노골적인 팽창과 패권 정책으로 나아갔고, 결과적으로 개혁에 실패하여 해가 지지 않는 대영제국이 명예롭게 물러날 기회는 다시는 찾아오지 않았다.
 

 

할리우드가 그려낸 매혹적인 오리엔탈리즘 - 아라비아의 로렌스

  화가 시작되면 "한적한 시골길에 오토바이를 타고 한껏 스피드를 즐기며 달려오던 한 사내가 맞은 편에서 다가오는 자전거를 피하려다 도로 밖으로 곤두박질 치고 오토바이를 운전하던 남자는 죽는다. 이 때 죽은 사람은 T.E. 로렌스였다. 유명인사였던 로렌스의 장례식을 취재하기 위해 온 기자는 문상객들에게 고인에 대해 탐문하지만 사람들은 의견만 분분할 뿐 정작 로렌스를 잘 알고 있는 사람은 없"었다. 이것이 영화의 서두 부분이다. 주인공의 죽음으로 시작되는 영화가 <아라비아의 로렌스>가 처음은 아니다. 주인공의 죽음은 사실상 결말에 해당하는 부분인데 어째서 영화는 그런 종래의 문법을 파괴하고 시간의 역순으로 사건을 배치했을까? 그것은 크게 두 가지의 의미를 가진다. 하나는 혹시 모를 관객들의 해피엔딩에 대한 기대를 무산시키고, 그 결과 관객이 영화를 흥미로 대하기 보다는 좀더 냉정한 자세로 주목하게 한다는 것이다. (결말은 이미 보았으므로.) 다른 하나는 하나의 신화로 자리잡고 있던 T.E.로렌스에 대해 이미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선입견에 대한 도전을 의미한다. 가장 가까이에서 로렌스를 보아왔던 문상객들조차 이해할 수 없었던 인물이 바로 로렌스였으므로….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난 1918년 영국군의 주둔지인 카이로에서 별로 할 일없이 소일하던 로렌스 중위는 군대 규율을 무시하고 제멋대로의 행동을 일삼아 골치거리로 생각되고 있었다. 그러나 그에게도 쓸 만한 점이 있었으니 그는 아랍어에도 능통하고 아랍문화에 대한 이해도 깊었다. 군사령부는 그를 아랍의 파이잘 왕자를 만나 전선의 현황을 파악하라는 명령을 내리고 안내자 한 명을 붙여 사막으로 파견한다. 사실 명령은 명목상의 이유였고, 어쩌면 골치 아픈 존재인 그를 쫒아낸다는 것이 더 강했을지도 모른다. 베두인(Beduin)족 안내자와 함께 사막을 건너던 로렌스는 우물에서 잠시 쉬며 물을 마신다. 그때 나타난 하리스족 족장인 알리(Sherif Ali Ibn El Kharish, 오마 샤리프)와 그의 부하들에게 베두인족 안내자는 물을 훔쳤다는 죄목으로 살해당하고 알리는 로렌스를 파이잘 왕자에게 데려다 주겠다고 하지만 안내자의 죽음에 분노한 로렌스는 이를 거부한다.

사막에서 로렌스는 문명과 야만 사이를 율리시즈처럼 방황한다.

  우리는 여기에서 로렌스로 상징되는 서구 문화와 알리로 상징하는 아랍의 문화가 충돌을 일으키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생존을 위해 사막에서는 누구라도 물을 필요로 한다. 그 물을 마셨다는 이유로 살해당한 안내자의 죽음에 분노하는 로렌스의 죽음에 대해 우리는 아마 공감할 것이다. 그러나 문화란 것은 그리 간단히 해석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베두인족인 안내자는 물을 훔치면 죽는다는 사막의 율법을 알았을 것이고, 물은 알리가 이끄는 하리스족에게도 똑같이 생존과 귀결되는 중요한 문제였을 것이기 때문이다. 비록 로렌스가 사막과 아랍문화를 이해한다고 해도 사막이 삶의 근거지였던 이들과 달리 그는 일정 기간 연구하고는 다시 문명의 도시로 돌아갔을 것이다. 어쨌든 우리는 군인임에도 불구하고 살인에 대해 극심한 반감을 지닌 로렌스를 알 수 있다. 알리의 호의를 거절한 채 나침반에만 의존하여 목적지로 향하던 로렌스는 파이잘 왕자의 군자문관인 브라이튼 대령을 만나 무사히 파이잘 왕자의 진지에 도착한다.

아라비아를 사랑했지만 아랍인이 될 수 없었던 로렌스

  국의 지원을 믿고 터키(투르크)의 압제에 저항해 봉기했던 파이잘(Feisal, 알렉 기네스) 왕자의 군대는 막상 봉기 이후에는 약속과 달리 영국의 미흡한 지원 탓에(영국은 터키군의 배후에 제2의 전선을 만들면 그것으로 족했고, 전후 아랍측의 저항이 두려워 중화기와 현대식 무기는 공급하지 않았다) 터키군의 현대식 전력에 밀리고 있었다. 파이잘 왕자의 군자문관인 브라이튼 대령은 영국군과 합류하기를 권유하지만, 로렌스는 영국군과 합류하는 것은 결국 아랍이 영국의 속국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며 반대한다. 그러나 전세는 아랍에게 불리할 따름이었다. 이를 타개할 묘책은 바다와 인접하고 있는 요충지 아카바로 진격해 들어가는 것이었다. 그러나 아카바로 진격하기 위해서는 모세 이후 누구도 건너지 못했다고 전해지는 죽음의 사막 네푸드가 버티고 있었다. 그는 단지 50여 명의 베두인족 전사들을 이끌고 네푸드 사막 횡단을 시도한다.

  불가능할 것이라는 우려 속에 아카바로 향하며 로렌스는 그를 따라온 고아 소년 다우드와 파라지를 몸종으로 삼는다. 화염처럼 이글거리는 태양과 눈을 뜰 수 없는 모래 바람을 뚫고 드디어 사막의 끄트머리에 도달했을 때 로렌스는 일행 중 낙오된 사람이 있음을 알게 된다. 그는 사람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다시 사막으로 돌아가 결국 그를 구해온다. 이 사건으로 로렌스는 영웅이 되고 아랍인들은 그에게 족장의 의상을 선물한다.

로렌스는 아랍인들의 거칠지만 순박한 심성과 사막의 아름다움에 매료당했다.

  사막을 건넌 로렌스는 그다지 호의적이지 않았던 호웨이탓의 족장 아우다 아부타이(Auda abu Tayi , 안소니 퀸)를 설득하여 아카바 공격을 위한 부족연합을 구성하는데 성공한다. 그러나 아카바 진격을 목전에 두고 야영지에서는 살인사건이 벌어진다. 부족 간의 오랜 원한에서 비롯된 살인사건은 간신히 연합했던 부족들을 다시 분열시킬 위기에 빠지게 하고, 살인자에 대한 처벌을 놓고 두 부족은 옥신각신한다. 이때 로렌스는 중립 입장에 있는 자신이 사형을 집행하겠다고 나선다. 그러나 로렌스가 죽여할 살인자는 자신이 목숨을 걸고 사막에서 구해냈던 낙오자였다. 그는 눈물을 흘리며 방아쇠를 당기고 분열의 위기를 간신히 넘긴 아랍군은 아카바를 성공적으로 손에 넣는다.

  우리는 앞서 알리의 손에 죽은 베두인족 안내자의 죽음에 분노한 로렌스를 보았다. 그리고 목숨을 걸고 다시 사막으로 돌아가 낙오자를 구출해낸 로렌스를 보았다. 그것은 분명 우리가 익히 잘 알고 있는 문명의 방식이다. 빅토리아 시대를 지나 근대적 이성을 훈련받은 지식인 로렌스. 그는 종교적 운명론, 사막의 숙명을 알고 있던 아랍인들의 문화를 이해한다고 생각했지만 앞서 알리가 베두인족을 살인하는 과정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마음 한 구석으로는 그들보다 근대적인 문명을 지닌 대영제국의 지식인이라는 우월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그런 우월감의 한 구석엔 다시 자신의 태생, 귀족인 토마스 채프먼 경의 친자이면서도 사생아였기 때문에 귀족 칭호를 받을 수 없었던 열등감이 자리한다. 그러나 사막의 유목민들은 그에게 '엘 오렌스'라는 귀족 이름과 족장의 옷을 선물한다.


1917년 7월 T.E.로렌스는 단지 50여 명의 베두인 전사를 이끌고 네푸드 사막을 횡단해 아카바를 공격한다.

  그러나 아카바 진격을 앞두고 로렌스는 사형집행자가 된다. 그것도 자신이 목숨을 걸고 살려낸 사람을 자신이 쏘아죽여야 하는 운명의 장난에 빠져든다. <아라비아의 로렌스>가 단순한 영화가 아니라는 것은 이 지점에 오면 좀 더 명확해진다. 이방인 로렌스의 방황이 시작되는 것이다. 

 

 

 

 

 

Home > Movie > 아라비아의 로렌스② > 아라비아의 로렌스①